선진한국

의사집단의 횡포

관허 2013. 11. 16. 20:43

요즘 의사들의 원격진료 허용안을 놓고 한창 찬반 논의 중이다. 물론 의사들은 원격진료에 대해 절대반대한다. 온갖 핑계가 많지만 결국 수입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는 것과 무한경쟁이 두렵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예전에는 환자가 거동이 불편할 때 의사의 왕진제도가 있었다. 왕진가방 하나 들고 가서 응급치료도 해주고 약도 주고 왔었다. 환자 입장에서는 그런 편리한 제도가 없어진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물론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겠지만 규제의 편리함이나 의사면허의 우월성을 내세운 것이 아닌가 한다. 요는 아픈 환자가 병원이나 의원으로 직접 오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것이 사실상 매우 어려운 사람들이 많이 있다. 설상가상으로 과거에는 집으로 찾아와서 영양제도 놔주는 간호사들이 있었으나 이것 모두 다 금지 되었다. 갈수록 환자들은 불편해지고 의사들은 가만 사무실에 앉아서 몇마디 물어보고 컴퓨터에 처방전 눌러주면 끝이 난다. 그런 몇분의 기회를 얻기 위해 생각해보라 거둥이 불편한 환자는 휠체어에 의지할 수 밖에 없는데 휠체어가 어디 잘 있나 또 휠체어가 있다 하더라도 교통수단이 없다. 장애인 택시는 장애인 증을 보자하니까 그것도 문제이다.  지자체에서 특별히 마련한 장애자용 콜택시를 불러서 병원에 가거나 119 신세를 질 수 밖에 없다. 또 병원 응급실로 가면 간단한 것이라도 의료보험이 안된다. 최소한 5만원이다. 어찌 이러한 불편한 제도를 만들어 놓고 환자편에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부득이하여 이런 제도를 만들었다고 선진화 되었다고 자랑들 한다.

 

이런 불편한 제도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자는 어쩔 수 없이 대신 보호자를 보내 대신 경과를 말하고 대신 약을 지어온다. 물론 처음으로 발병하여 무슨 병인지 모르고 병원에 가서 각종 진찰 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는 가야한다고 하겠지만 간단한 혈압약 당뇨약을 정기적으로 타러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힘든 행차를 해야 한다는 것은 매우 불합리하다. 이런 문제들을 방치한 채로 원격진료를 반대만 한다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라 할 수 밖에 없다.

 

오래 전 외국에서 밤에 갑자기 열이 오르는데 의사처방이 필요한 해열제라도 먹으면 밤에 응급실로 찾아 간다는 불편을 덜 수 있을 것 같았다. 물론 큰 병이 아닐 것으로 생각했기에 의사를 전화로 찾아 몇마디 전화로 질의 답변을 하고 야간 드럭스토어에 가서 의사와 전화연결을 해 주었다. 거기서 응급 약을 사서 먹을 수 있었다. 어째서 우리는 이러한 제도를 못 가진다고 하는지.

 

또 한번은 애가 밤에 팔이 탈골되었는데 바로 병원에 가야할지 다음날까지 기다려야 할지 당황스러웠는데 마침 정형외과 아는 사람이 있어 물어보았더니 전화를 들고 시키는 대로 따라 해라 했다. 애의 팔을 들고 시키는 대로 밀고 넣고 했더니만 간단히 다시 붙었다. 이렇게 간단한가 싶을 정도로. 어째서 우리는 이런 편리한 제도를 가질 수 없는지.

 

더군다니 이제는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와이파이에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되어 예전보다 화상채팅 영상전송 등 의료환경은 몰라보게 달라졌는데 우리는 아직 전근대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밥그릇 타령만 하고 있다. 직능단체를 만들어 놓으면 집단 이익만 추구하고 국회는 소비자 입장보다 그런 단체에 쉽게 동의하고 압력에 굴복한다. 모두가 전체 이익을 생각하고 합리적으로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의료기술에 문외한인 본인도 병원에서 주의사항을 주면서 정기적으로 혈압과 당뇨를 이렇게 저렇게 재어서 병원 데이터에 입력해 놓으라 하고 의사는 그 데이터를 보고 환자의 상황을 대충 다 파악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기계의 발달로 그런   것 재는 것은 누구나 다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아뭏든 모든 환경이 네트워크화 되어가는 시대에 의료만 뒤로 쳐져서 집단이익만 내세울 것이 아니다. 그런 것을 막을려면 차라리 의사왕진제도를 대폭 허용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