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문 오류에 대하여선진한국 2011. 4. 5. 17:56
최근 한-EU FTA 협정문의 번역오류에 대하여 정부가 사과하고 국무회의에 다시 올리는 등
일련의 사건이 일어났다.
이러한 일은 물론 담당자의 책임감 결여와 주의력과 경험의 부족이 일차 원인이 아닌가 한다.
그런데 이는 최근 우리 신세대의 빨리빨리 정신이 하나의 원인제공이 되지 않았을까하는 우려도 있다.
본인은 특별히 젊은 시절부터 오자탈자문제에 많은 주의력을 기우려야 하는 일을 했다.
그 당시는 물론 타자를 치고 인쇄소에 맡기고 초판 교정을 보고 인쇄가 되면 또 교정을 본다.
법안이 공포가 되면 또 관보를 검토해서 오자 탈자가 없는지 몇차례 같은 문서를 읽고 또 읽었다.
법안 심사시에도 일본의 규정을 참고 했다하면 일본의 법령을 가지고 오라해서 제대로 번역을 했는지도 따졌다.
무역진흥월례회의 대통령 업무보고시에는 슬라이드로 한 한시간 반정도 보고 분량이 있었는데
마지막 순간까지 보고보고 또보고 교정을 봐야 했다. 신기하게도 그렇게 여러사람이 보았는데도
마지막 리허설에서 한자 오기가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우리 직원끼리는 교정 보면서 하나 발견하면
만원씩 벌금을 매기기도 했다. 그당시는 정말 책임지고 자리를 걸고 교정을 보았다.
또한 나이드신 분들은 챠트 보고를 경험한 적이 있었을 것이다. 지방근무시에는 그래도 내가 읍면에서 만든 챠트를 군수보고 전에 한번 스크린을 해주기도 했다.
번역의 경우에도 번역이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체험했다. 해당분야에 전문가가 아니면 자신있게 번역할 수 없을 만큼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기도 한다. 한국의 법령을 영어로 번역한 적도 있는데 마찬가지로 용어선택이 아주 어렵다. 기존 법령에서 어떻게 번역해 왔는지도 검토해야하고 영어로 정확히 어떤 단어를 선택해야 하는지도 매우 어려운 문제였다. 영한사전과 한영사전이 있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독일과 협정문안 협상을 한2년 한적이 있는데 그야말로 철저한 독일인임을 실감했다. 우리는 영어 하나만 가지고 협상을 했는데 독일인은 초기단계부터 영어로 협상을 하면서 독일어로 번역이 가능한지 같은 의미로 번역이 되는지 여부를 같이 검토 하면서 협상을 했다. 동시에 두개의 협정문안을 만들어 가는 것이었다.
또하나 감탄할 것은 한국어 독일어 번역 전문가를 대동하고 협상을 하는데 그 번역가의 수준은 가히 박사급이었다. 국문학 박사학위를 가지고 한자용어는 물론이고 우리와 농담까지 가능한 수준의 한국어 실력을 가진자가 통 번역을 담당하였으니 참 대단한 수준이었다. 더 놀라운 것은 우리가 한국어로 번역을 마쳤을때
독일측이 우리 한국어 번역문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바람에 우리도 독일어 협정문을 읽어 보기는 했지만. 협정문안 협상은 이렇게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하는 중대한 문제이다.
그런데 취근의 사건을 보면 이러한 어려운 문제라는 인식이 좀 결여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안타깝다. 그저 번역책 만들듯이 대충 사전적 번역을 하면 될 것이라는 생각은 안된다. (본인은 번역의 오류를 보기 싫어해서 되도록이면 읽지 않으려하지만)
이러한 해결책의 하나로 용역을 맡긴다는 안도 나오는 것으로 보이나 용역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용역업체에서 얼마나 책임감을 가지고 어떤 인력을 써서 할지도 의문이고 결국은 담담 공무원이 첵임지고 다시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협상과정에 참가한 사람이 가장 잘아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무슨 문제가 있고 어떤 배경을 가진 문제인지를 가장 잘 알수 있는사람이 바로 담당자이기 때문이다. 공무원은 이런 문제에 대해서도 모든 지식을 동원해서 정확한 용어를 선택할 줄 알아야 한다. 협상에서 관련 전문가가 필요하듯이 번역에서도 그런 사람에게 자문을 구하면 될것이다.
요는 책임감과 주의력, 시간의 문제가 아닌가 한다
'선진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원진료 절차에 대하여 (0) 2011.10.04 번역 오류에 대하여 2 (0) 2011.04.12 즐거운 도시만들기 - 기록과 작은 박물관 (0) 2010.12.31 순혈주의와 특채문제에 대하여 (0) 2010.09.08 위장전입문제에 대하여 (1) 2010.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