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한국
-
이조당쟁의 계승자선진한국 2024. 5. 23. 10:54
이번 총선 결과 변호사등 법률가들이 전번 국회보다 더 많이 들어갔단다. 그리고 현재 대통령을 위시하여 야당대표 그리고 지난번 여당 비상대책위원장까지 모두 법률가이고 또 지금은 행정부에서 검찰이 거의 독주하다시피 한단다. 인사문제도 거기서 검토하고 요직도 모두 검찰출신이 차지한단다. 난 법대출신이면서 변신에 성공했다. 미국 유학을 가면서 과감하게 6년간 공부했던 법학을 버리고 경영학을 선택했다. 그런데 내가 법학을 공부하면서 친구들 토론하는 것을 보면 쓸데없는 논의가 아닌가 하며 영 마음에 차지 않았는데 경영학을 공부해 보니 완전히 딴판이다. 공부가 재미가 있다. 그 당시 경영학 교수들은 법률가는 한쪽에서 구덩이를 파면 다른 한쪽에서 구덩이를 묻는 직업이라 했다. 사회적으로 가치가 없는 직업이라는 것이다...
-
사회개혁도 각자의 변화로부터선진한국 2024. 5. 22. 18:00
요즘 정치상황을 보면 끝없는 투쟁의 연속이다. 과거와 달리 의논과 합의라는 미덕은 사라지고 전쟁보다 더한 상대방 죽이기의 싸움판이 되었다. 거기에 덩달아 사회는 점점 더 양극화되어 가고 이념의 충돌이 격화되었고 물가의 폭등으로 경제의 양극화도 심화되어 간다. 이런 상태로 가다가는 누군가 라이터 불로 우리 사회에 불을 붙인다면 (예를 들어 미중충돌이나 북한의 도발)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이 올지도 모르는 상황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 이런 와중에 천주교 추기경의 "내탓이요"라는 아주 간단하고도 심오한 말이 생각난다. 인류역사를 보면 이러한 사태가 오늘에만 있는 현상이 아니다. 유구한 역사를 통해 우리 선조들과 성현들은 이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내놓았다고 생각한다. 유교에서는 치국평천하가 있고 불교에서는 자비..
-
부패된 정치가 나라를 망친다선진한국 2024. 3. 8. 06:19
한 가정에서 남녀가 우리는 하나라는 개념이 없이 상대방을 나를 위한 하나의 착취대상으로 볼 때 또 나의 이익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볼 때는 그 가정은 망한다. 국가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나라 잘되라고 하는 정치가 부패하여 저편을 죽이지 않으면 내가 죽는다는 식으로 극한으로 간다면 우리는 하나라는 공동체 의식 없이 나라는 분열되고 만다. 또한 철지난 이념에 매몰되어 냉혹한 경쟁에 지배되는 경제현실에서 한 발짝 떨어지고 만다면 애써 쌓아 놓은 공든 탑을 폐기처분해야 될지도 모른다. 내가 90년대 러시아를 방문했을 때 한때 잘 나가던 러시아 경제가 쇠락해 버린 현장을 볼 수 있었다. 인프라는 그대로 갖추어져 있던 마을 공동체가 시설이 낙후되었고 공장도 한때 잘 나가던 것 같은데 투자가 계속되지 않아 폐기..
-
KT 셋톱박스 설치 유감선진한국 2024. 3. 1. 06:20
전에 내가 한번 KT에 인터넷 해지와 관련하여 KT본부에 건의를 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회사의 대응에 대해 외국기업과의 경험에 비교해서 매우 후진적이라는 것을 소개한 적이 있다. 따라서 이번에 KT 셋톱박스를 교체하면서 느낀 것이 있지만 굳이 회사에 건의해 봤자 소용이 없으니 그냥 여기서 느낀 점만 밝히고 넘어가고자 한다. 들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자들에게는 말해야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난 오래전부터 KT 애호가로 휴대폰도 인터넷도 TV도 모두 KT를 이용하고 있는데 포인트도 상당히 쌓여있다. 그동안 그 사용도 별로 하지 않아 계속 모이기만 한다. 그런데 그동안 한 TV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는 셋톱박스가 근 10년이나 되어 유튜브도 볼 수 없는 구형이었는데 아무래도 이런 구형을 그냥 쓰고 있는 게..
-
판교의 한 맥주펍과 도깨비경매장선진한국 2024. 2. 24. 06:57
얼마 전에 친구와 판교 한식당에서 만나 저녁을 먹는데 시간이 늦어 음식 주문도 마감되어 할 수없이 근처 한 펍인 팝퍼블릭이라는 곳에서 못다 한 이야기와 함께 맥주를 마시게 되었다. 그런데 들어가자마자 개인별 팔찌를 차고 그것으로 벽에 수십 개 널려있는 맥주 탭에서 직접 빼먹으란다. 한번 해보니 우선 팔찌를 갖다 대고 레바를 누르니 맥주가 나오고 화면에는 금액이 주유기 마냥 올라간다. 먹을 만큼 따르고 자리에 돌아가서 마셨다. 계산은 나갈 때 계산대에서 그것만 갖다 대면 얼마나 썼는지가 나오고 카드로 계산한다. 현금은 금지다. 범죄자만 발찌를 차고 있는 줄 알았는데 여기오니 팔찌를 차지 않으면 맥주를 마실 수가 없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예전 괌이나 자마이카와 멕시코 칸쿤에 갔을 때 비닐로 된 팔찌를 차고 ..
-
대학 무전공제에 대하여선진한국 2024. 2. 16. 06:09
대학 진학자에 대하여 전공학과별로 공부하게 하느냐 학제 간 융합을 위하여 전공 범위를 얼마나 광범하게 허용할 것이냐 아예 전공과목을 자유에 맡길 것이냐 등 논의가 있고 그런 방향에 대하여 대학과 교육당국 간의 의견차이가 있는 것 같다. 대학 생활이라 하면 박사가 아니면서 나만큼 많이 한 사람도 드물 것이다. 무려 10년 넘게 대학에 있었으니 말이다. 그래서 내 경험을 소개하고 이 문제에 대한 나의 의견을 개진하고자 한다. 나는 고등학교를 다니면서도 뚜렷한 나의 비젼이 없이 그냥 공부만 해서 무엇을 전공해야 할지 계획조차 없었다. 그러다가 대학 원서를 쓰게 되었는데 그때는 담임선생이 대충 학과를 정해주었다. 내 차례가 와서 선생님을 만났더니 다짜고짜로 "자네는 상대 가는 거지" 하고 물었다. 난 그냥 "네..
-
메트릭스 적응에서 메트릭스 벗어나기선진한국 2024. 2. 15. 07:57
모처럼 여유시간을 가지게 되고 날씨도 따뜻해져서 건국전쟁 다큐를 보러 갔다. 하도 영화관을 가지 않아서 요즘 분위기조차 몰라 혹시나 하고 휴대폰으로 표를 먼저 샀다. 아니나 다를까 영화관에 가서 보니 표 파는 종업원도 없고 검표하는 사람도 없다. 기차 타듯 그냥 알아서 들어간다. 아마도 지정된 자리에 앉지 않으면 직원이 물어볼 것 같다. 표 샀느냐고. 음료수나 살까 하고 봤더니 메뉴판에는 생수가 없다. 밖에 나가서 살까 하고 봤더니 그것도 멀다. 종업원 대면으로 주문하려면 줄을 서야 하는데 아마도 노인용 같다. 거기서 물으니 생수가 있단다. 우왕좌왕하는 노인들을 보면 젊은이들이 혀를 차지 않을까 두렵다. 다큐는 거의 노인들만 보러온 것 같다. 관람 후 부근에 있는 유니클로 매장을 들러 보았는데 하도 신제..
-
은퇴자의 역할에 대하여선진한국 2024. 2. 10. 18:03
내가 은퇴한 지도 벌써 십 년이 넘었다. 은퇴한 후 이것저것 해보기도 하고 다른 친구들이 어떻게 노후생활을 하는지도 살펴보았는데 은퇴자들이 우리 사회 공동체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역할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또 미래에는 어떻게 변화할 지도 한번쯤은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겠다. 우선 사람은 자기가 속헤있는 공동체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개인으로서 사회와 분리되어 자기만족을 얻는 것으로 수용될 수 있는지를 봐야 할 것이다. 먼저 가족간에서 연장자가 될 경우 예전에는 손자나 증손자를 교육시키기도 하고 가문의 기강이나 가문의 풍습 예절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그런 역할도 현세대에 이르러서는 세대도 핵가족화하고 전통에 대한 존중 같은 관념도 사라지고 있어 어른의 역할도 그만큼 사..